로프는 하네스와 더불어 등반자의 생명과 직접적인 영향이 있는 만큼 신중한
관리가 필요하다.
로프의 수명 (10년) = 보관수명(10년) + 사용수명(0년) 으로 나누어 볼 때, 우리나라 등반자들은보관수명에 관심을 기울이는 것 만큼 사용에 있어서 관리가 철저하지 못한 경향이 있다.
* 우리나라의 경우 일반적인 등반을 기준으로 할 때 로프의 사용수명은 대부분이 1년~5년정도인 것으로 보인다. 이는 매주~1회/한달 정도의 등반횟수가 대부분이라는 가정하에 추정되는 내구연한으로 이 경우 로프는 등반자에게 안전에 대한 확고한 믿음을 줄 수 있다.
다만, 이경우에도 특별한 조건(약품침전, 날카로운 모서리, 규정을 위반한 부하등)에 노출되지 않는 정상적이고 일상적인 환경을 기준으로 할 경우에 한하며, 하루에 UIAA의 기준을 초과하는 추락이 있었다면 번외사항이다.
생산된지 5~6년이 지난 로프라 하더라도 실제 등반가가 어떠한 사용빈도를 가지느냐에 따라 결국 1년이내 폐기되기도 하고, 5~6년을 더 사용하기도 하므로 제조일자를 확인하는 노력의 1/10만이라도 평상시 관리에 신경을 써야 할 것이다.
로프의 보관수명에 관해 여러가지로 조사하여도 뚜렷한 기준을 찾기가 힘든데, 여러 브랜드와 인터넷을 검색해 보면 대부분이 보관수명을 10년정도를 기준으로 하며 아래에 소개되는 마무트의 경우도 예외는 아니다.
로프의 구매시 아무리 최신 제조일자의 로프를 구매한다고 하더라도 사용상의 부주의나 무리한 등반으로 인해 로프의 수명은 급격히 짧아지기도 하고, 혹은 기준 이상의 사용 연한을 가지기도 한다.
로프의 경우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절단되는 일은 없다는 것이 거의 모든 제조사들의 공통된 의견이며, 1900년에 만들어진 로프를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 클라이머의 추락을 1회 견디는 것으로 나타난 것을 보면 우리들이 생각하는 이상으로 로프는 강한 생명력을 가졌다고 보여진다.
그러나 이러한 로프도 세심한 주의나 관리를 하지 않으면 결국은 우리의 생명을 위협하는 도구가 될 수 있는데 전혀 하중을 받지 않는 곳에서 사용한지 얼마되지 않은 로프가 끊어진 일이 있다. 다행히 클라이머는 사망을 하지는 않았고, 로프 제조사에서 끊어진 부분을 조사한 결과 로프에서 황산성분이 검출되어 이것이 원인인 것으로 밝혀졌다.
주차장 바닥에 흘린 배터리액 위에 로프를 놓아 두었던 것이다. 이는 아무리 새로운 로프라 하더라도 사용자의 관리가 얼마나 중요한가를 나타내는 단적이 예이다.
외국의 경우 톱로핑이라 하더라도 상단의 확보볼트에 직접 로프를 걸기보다는 자신의 퀵드로를 사용할 만큼 로프에 신경을 쓰기도 하고, 로프를 씹을 가능성이 있는 도구는 가능하면 사용하지 않고 있다.

로프의 관리와 수명
http://www.mammut.ch/ko/ropes.html
(마무트 홈페이지 발췌)
1. 다이나믹 로프
Balanced Rope Concept
로프 제작은 표준 낙하의 높은 빈도수와 가벼운 무게감, 충격완화와 늘어나는 것을 절충하는 것이다. 수년간 마무트는 균형잡힌 로프의 철학을 추구해 왔으며, 이는 우수한 로프는 한 가지 빼어난 특색으로 구별되어지는 것이 아니라 모든 기량에 대한 최적의 발란스 합에 의해서 구분됨을 뜻한다.
COATINGfinish™ - Light & Strong
최고 수준을 만들어내는 혁신적인 기술: 각각의 그램 수가 좌지우지 하는 순간. COATINGfinish™ line로프는 최소 경량과 지름으로 강도와 완벽한 다루기를 겸비한다. 모든 로프는 코팅 마감을 하며 우리의 연구실에서 나온 테프론 코팅을 쓴다. 이들은 조작에 있어 믿을 수 없을 정도로 유연하고 바위에서 거의 마찰이 없을 정도로 흘러 내리고 먼지를 획기적으로 덜 흡수한다. 가장 까다로워야 하는 클라이머를 위한 로프계의 정상이다.
superDRY™ - Clean & Dry
마무트의 증명된 표준들이 인상적인 것은 균형잡힌 특성에서부터 온다. 높은 강도, 최소무게, 편안한 손놀림, 긴 수명이 완벽한 조합을 이룬다. 만족한 수천의 유저들이 여러해 동안 든든한 만능 로프를 신뢰를 해왔다. superDRY™ line에 속한 로프는 여러 다른 활동에 쓸 단 하나의 로프로서 최상의 선택이 된다.
CLASSIC - Mammut Standard
CLASSIC line로프는 품질과 내구성으로 여러 층의 사용자들에게 폭넓은 용도로 마무트의 가장 잘 알려진 로프다. 이 다목적용 로프는 고전적인 스포츠 클라이밍에서 짐 스타일까지 적당하다. 캐주얼한 스포츠 클라이밍과 전통암벽 등반, 탑로핑과 가치 중심적인 클라이머에게 이상적이다.
로프 유형
로프의 종류에는 세 가지가 있고, 각기 다른 적용에 가장 적합하게 분류되어 서로 다른 규준 하에 테스트를 받는다.
싱글로프
싱글로프Single는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로프다. 지름과 길이에 따라 대부분의 상황에서 쓰여진다. 주 강점은 단순한 조작에 있다. 약점은 루트에서 하프로프 길이 정도 높이까지 갈 수 있으며 내려주기 할때와 로프하강시 자주 사용할 수 있다.
싱글로프의 지름은 대략 8,9에서 11 mm 까지고 미터 당 무게는 52에서 77그램 가량 나간다. 싱글로프는 80 kg의 덩어리 기준 5회의 추락을 견딜 수 있다.
트윈로프
트윈Twin로프는 반드시 짝을 맞춰 사용해야하고 싱글로프 기술과 마찬가지로 각 보호장비에 함께 고정시켜야 한다. 두 개의 로프는 여분을 줘서 날카로운 엣지에서 갑작스런 무게가 실어질 경우 안전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이들은 특히 산악등반 또는 퇴각이 요구될 수 있는 난이도가 높은 루트에 적합하다. 가장 안전성에 있어 여지가 크고 전체 길이 로프하강이 가능하다. 지름 크기는 7,5에서 8,5 mm이고 무게는 미터 당 38 에서 45 그램으로 싱글로프 계열의 가장 무거운 것 만큼의 무게다. 로프는 표준테스트에서 80 kg의 무게로 12회의 추락을 견뎌야 한다 .
하프/더블로프
강도와 무게에 관련하여 하프로프는 싱글로프와 투윈로프 사이에 놓인다. 이들은 짝을 이뤄 사용했을 때 표준의 안전을 제공할 뿐이다. 그런데 여기서 적어도 우리는, 양 갈래의 로프가 평행으로 보호장치를 통과하는 트윈로프 기법으로 할 것인지, 왼쪽과 오른쪽 로프가 따로 따로 서로 다른 보호장치를 통과하는 하프 로프로 할 것인지 선택할 수 있다.
이 기법은 보호 기재들이 넓은 영역에 퍼져있을 때 마찰을 감소시키고 충격파를 감소시킨다. 이것은 전통적으로 방어된 루트에서 유익하다. 각기의 로프를 제어하는 빌레이 방법을 반드시 써야한다. 하프로프는 55 kg 덩어리 무게로 표준 5회의 추락을 견뎌내야 한다. 지름은 8 에서 9 mm 이며 미터 당 무게는 41에서 55 그램이다. 홑 겹 형태로 자일을 안정시키는데 적당하다.
구매 팁
사용하려는 의도가 어떤 로프가 가장 좋은지를 결정한다. 그래서 등반의 종류에 따라 사용되는 다른 종류의 로프를 몇 개 가지고 있는 것이 효과적이다. 마찰이 심한 등반시 사용하는 루트 작업, 탑로핑 같은 경우 외피 비율이 높은 로프가 유용하다. 산악 등반 시, 특히 얼음이 있는 곳은 건성처리한 로프가 유용하다. 날카로운 엣지에서 매달리게 될 가능성이 있는 경우, 또는 더 길어질 수 있는 로프하강 예상 시에는 트윈 또는 하프로프가 최우선이다. 다음은 전형적인 사용 예와 이에 따른 각기 특징적인 작업 성격에 맞는 로프를 보여준다.
알파인 암벽등반
예) 시에라 고층부, 부가부, 윈드리버랜지Wind River Range.
더 어려운 암벽에 도달하게 되면 유사한 수준의 난이도가 닥쳐오고, 이것은 곧 어느 순간에라도 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하고, 앵커에서 앵커로 이동하는 전형적인 확보 작업이 필요하다. 싱글이건 더블이건 트윈로프를 써야하며, 로프하강이나 다운 클라이밍을 선택해야 하는 상황에 놓인다. 갈라진 지형에서는 좀더 짧은 로프 길이가 현명하다.
긴 빙벽 혼합 루트
예)Moonflower Buttress, Walker Spur, Droites North face, 외 난이도가 높은 폭포.
하프나 트윈 로프가 가장 안전성에 여지를 주고 어려운 지형에서 긴 로프하강을 가능하게 한다. 건조 처리되어 있으며 조작이 쉽고 조작과 무게가 덜 나가는 것이 빠르고 효과적으로 로프를 다루는데 도움이 된다. 길이가 긴 로프는 특히나 빙벽루트처럼 피치들이 같이 놓여진 곳에서 도움이 된다.
빙벽 등반 / Dry tooling
예) Vail, Ouray.
건조 처리된 장비가 핵심적인 데 비해 스포츠클라이밍과 유사한 요건이 요구된다. 날카로운 엣지가 있는 암벽 지형에서는 트윈 로프로 안전성의 여지를 확보하는 것이 좋지만 볼트를 박은 혼합 루트에서는 싱글로프가 단순한 조작으로 유리하다. 스코트랜드에서 주로 볼 수 있는 안전 장치가 거의 없는 혼합루트에서는 하프로프 기술이 안전 체인에 가하는 무게를 줄여줄 수 있다.
등산
예) 남미의 Mt. Rainier, Denali.
전통적인 루트가 혼합된 지형과 싱글 등반 피치 등급이 4에서 5인 곳에서는 로프하강보다는 다운클라이밍을 주로한다. 이런 경우에 싱글로프가 유리하다. 또는 반절만 써야되는 점이 있지만 이중의 하프로프 길이를 쓸 수 있다. 이런 경우도 건조처리된 로프를 권한다.
멀티 피치 스포츠 클라이밍
예) Mt. Charleston, Red Rocks, El Portrero Chico, Wenden, Verdon.
트윈로프와 하프로프 기술이 최선의 안전성 여지를 둘 수 있고 전체 로프하강이 가능케 한다. 기후 변화가 예상되는 조건에서는 건조 처리가 되어 있는 것이 유용하다. 적정 로프를 준비하여 날카로운 엣지에 대한 내구력을 보장할 수 있어야 한다.(Half 또는 twin ropes).
스포츠 클라이밍
예) 타이랜드의 Rifle, Smith, Rumney.
잦은 추락이 있는 곳으로 우람하고 튼튼한 로프가 중요하다. 다이나믹 빌레이로 충격파를 완화시킬 수 있다. 조작과 무게를 엣지에 이르면 최적으로 하여 완수해야한다. 안전한 하강을 위해 긴 길이의 로프(70/80 m)가 많은 현대 스포츠 클라이밍에서 요구된다.
인공암벽 체육관
Climbing Gym의 표면은 로프를 더 빨리 닳게 한다. 더 억쎄고 두꺼운 외피를 가진 로프가 유리하다.
잦은 추락이 있는 루트 만들기
예) 지역의 괴암에서 훈련할 때.
잦은 추락은 광범위하게 닳게 한다. 그러므로, 튼튼한 내구력이 있는 로프가 요구된다. 무게는 수명에 비해 덜 중요하다.
탑로핑/기관에서의 용도
많은 마모와 사용감으로 더 견고한 외피 구조를 가지고 있는 로프가 유리하다. 선등자 뒤에서 내려오는 것만 한다고 보고 상황이 된다면 하프로프 또한 사용될 수 있다.
거대 장벽 암벽
예) El Capitan, Baffin.
거대 암벽 등반에는 싱글로프가 가장 널리 사용되고, 스태틱 로프는 끌어당기기 용으로 쓴다. 안전성의 여지를 많이 계산한 터프한 외피의 로프가 요구된다.
구조
예) 산악구조
높은 안전성 보강과 낮은 신축성은 산악 구조 로프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자질이다.
2. 스태틱 로프
구조
로프 핵
로프 핵은 이중으로 짜여진 케이블 얀으로 각기 얀이 수회에 걸쳐 단일 공정을 거친다.
로프 외피
케이블 또는 평행 얼레에서 풀어낸 얀이 외피를 따아가는 동안 핵을 감싸주어 외부로부터의 기계적인 영향으로 부터 보호하고 로프를 간결하고 실전에 강한 핸들링을 준다.
Info Tex
각각의 마무트 로프는 핵에 심어진 띠가 있어서 가장 중요한 로프의 데이터 자료가 세겨져 있다: 생산자, 테스트 기준, 로프 종류, 생산 일자, 재질.
유형
Performance-Static
가장 내구성이 높게 요구되고 상당한 사용이 중요시 될 때 튼튼하고 마찰에 저항력이 있는 로프다. 이 로프는 집중된 용도로 요구되는 모든 정적인 스태틱 로프의 요구 사항을 충족한다.
코드
속심껍질이라는 뜻의 케른망틀 구조는 정확하고 효율적인 지름에 따른 강도를 보여주어 명칭에 정확하게 부응한다. 이례적으로 튼튼하고 안정감있는 모양의 로프 구조로서 마무트 코드는 강도 높은 사용이 있은 후에도 최고의 핸들링과 사용 특색을 유지한다.
특히 적합:
• 가벼운 무게 올리기
• 앵커 원조
• 프르직 슬링
취급
지난 150년에 걸쳐 마무트는 불가능에 도전할 만큼의 가장 좋은 로프를 만들어 내기 위해 우리의 모든 경험과 지식을 쏟아 부었습니다. 우리의 공장에서 제조되어 나가는 모든 로프는 엄격한 품질 관리하에 출하되며 가장 최종적인 제어에서 에러가 전혀 없습니다. 그러나 우리의 영향력은 선별한 전문가 딜러에게 배포하는 것으로 마감합니다. 구매 후에는 로프의 실질적인 삶이 시작되고, 이로서 사용자의 책임하에 놓이게 됩니다. 최고의 로프는 정확하게 사용하고 잘 관리되었을 때 최선의 기량을 낳습니다. 마무트 로프는 관리에 특별한 노력이 많이 들어가지 않고 각 클라이머나 산악인들은, 가장 중요한 안전 장비를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 몇 가지 기본 수칙을 주의하면 됩니다.
실용적 팁
풀기-최초
기존의 제품(«Lap Coiled» 외) 에서 로프는 똬리로 말려져 엉키지 않고 드럼처럼 안쪽은 비어있다. 또한 말려진 상태로 전해지기도 한다. 처음 사용할 때 다 말려진 상태를 풀어주지 않으면 난처하게 엉킬 수 있다.
똬리 풀기: 로프 줄를 벌려 아래 팔뚝을 로프 똬리에 마주 보게 넣는다. 힘을 팽팽하게 줘서 아래 풀뚝을 바깥을 향하게 하여 둥글게 꼬듯이 움직여서 로프 끝이 바닥에 떨어지게 한다. 두번째 끝 부분이 손목에 얽히지 않게 주의하고 빙빙 돌려주지 않도록한다.
로프를 풀어낸 후 손으로 로프를 주욱 미터 미터 당으로 2-3회 훝어주고 남아있는 꼬임을 없애기 위해 부드럽게 흔들어준다. 이후에는 이동이나 로프 가방에 보관이 가능하다. 로프 풀기는 로프 가방 위에서 행하거나 또는 집에서 실행하는 것이 밖에서 하는 것보다 불필요한 오염을 막아줄 수 있다.
로프 가방
스포츠 클라이밍을 할 때 로프 가방은 이동이나 흙먼지로부터 보호하고 바로 쓸 수 있는 방법으로 가장 좋다. 한 쪽 끝 로프는 로프 가방의 고리에 묶어두고 풀려진 로프는 방수 타폴린 위에 쌓아 둔다. 윗쪽의 끝은 선등자에게 술술 풀려나갈 수 있다. 옮길 때는 풀린 로프 끝을 타폴린 백의 다른 고리에 묶어둔다. 로프가방의 또 다른 잇점은 바로, 실수로 하강 시에 종종 생기는 불운 한 사고 중 하나인, 풀려진 로프끝 이 빌레이 장치를쏙 빠져 나가버리는 것을 막을 수 있다는 점이다.
빌레이 자세에서의 로프 운영
특히 폭포 뿐 아니라 산악 등반과 바람이 많은 기후 조건에서도 로프코일을 확보용 발디딤인 빌레이 스텐스 아래로 걸지 않는것이 중요한데, 이는 덩어리진데나 고들름에 걸리는 수가 있기 때문이다. 경험이 있는 클라이머는 자신의 빌레이 로프, 허벅지, 또는 발 위에 왼쪽 오른쪽으로 번갈아 돌려 코일을 만들어 둠으로서 로프의 조건을 언제나 좋게 유지한다. 만약 같은 선등자가 계속해서 다음 피치까지 등반을 한다면 로프를 다시 걷어 완전히 다시 쌓아올려서 막힘없이 진행될 수 있게 해야한다.
추락 후 회복기
스포츠 클라이밍 추락 후 로프는 후시기를 거치는 것이 이롭다. 거친 타격으로 무게를 감당한 로프는 회복기를 줘야 하고, 가능하다면, 로프의 양끝을 서로 바꾸는 것이 필요하다. 이런 식으로 사람 손으로 만든 섬유가 추락에 의해 당겨졌다가 다시 원기를 회복하여 로프의 수명을 확실히 연장할 수 있다. 그 로프는 추락 이후 다시 매달리는 일이 없다면 확실히 연명할 수 있다. 대신 몸을 볼트에 직접 고정해야 하겠지만.
로프 루트하기
기술적인 로프 길 내기로 로프와 여러분의 신경에 마찰을 줄일 수 있다. 만약 가능하다면, 로프가 끼이거나 깊게 닳아 헤지거나, 추락이라도 발생하면 끊어질 수 있기 때문에 날카롭거나 거친 엣지, 크랙 틈새를 통하거나 바위의 뒤에서 지나가게 하지 않아야 한다. 지능적으로 위치된 보호 장치는 낙석이나 젖거나 축축한 구역을 피해 갈 수 있게 해준다. 넓게 퍼진 보호 포인트들은 확보 연결 고리들인 러너를 길게 사용해줌으로서 상쇄할 수 있다. 로프 루트를 충분히 똑바르게 만들지 못하게 되더라도 자연적으로 보호된 루트에서라면 잉글랜드나 미국에서 자주 접하는 것 처럼 두가닥 로프기술을 사용 할 수 있다.
쇼트 로핑
짧고 난이도가 낮은 부문으로 추락 위험이 없는 곳에서는 로프 똬리를 어깨 위로 걸쳐 이동할 수 있다. 이렇게 하기 위해서는 각기 등반 파트너는 할 수 있는 한 여러 똬리를 어깨에 옮기면서 묶는 지점에서 똬리 들을 가르지르는 방식의 연결과 8자 되감기 매듭, 손으로 돌려 잠그는 스크류게이트 카라비너를 써서 고정한다. 이렇게 하지 않으면 코일이 만에 하나 추락시에 팽팽해져서 클라이머를 죌 수 있다. 로프를 , 로프 코일 하나 하나 차례로 어깨에서 떼어내 엉키거나 매듭이 생기지 않게 한다. 짧은 로프 기술이 병행되는 난이도가 높은 등반 부문은 산악 가이드에 의해 가능하고 이나마 응용의 범위도 한정된다. 비 전문가에게는 치명적이다. 빌레이를 똑바로 할지 로프없이 올라갈지를 선택하거는 것 만큼이나 중요하다.
하강
만약 로프가 던지기에 적합하지 않을 만큼 잘 말려 있지 않은 상태라면 매듭도 곧잘 생길 수 있다는 뜻이다. 흔들거리는 바위가 있는 울불퉁한 지형에서 로프하강할 때 그 하강이 낙석의 요인이 되거나, 바람이 쎄게 불 때 로프를 던지면 이리저리 흔들리거나 엉키게 될 수 있다. 이런 일을 피하기 위해서나 또는 익숙하지 않은 루트에서 하강할 때는 파트너를 더 내려주는 것이 낫다. 응급 상황에서는 뮌터 히치를 써서 로프 하강하고 로프들은 루트 위에 평행하게 해서 엉킴을 피해야 한다.
3인조 로프 팀
가끔 더 긴 루트에서는 세명이 한 팀을 이뤄 한 명이 선등하고 따라오는 두명을 확보하면서 등반하기도 한다. 만약 두 개의 싱글 로프가 사용되면 선등자는 위험한 충격파가 빚어 질 수 있으므로 결코 두 개의 로프를 동일 보호 포인트에 하나로 고정하는 일이 없어야 한다. 3인 1 팀의 로프는 하프 로프를 쓰고 절대 트윈 로프를 쓰면 안된다.
로프 거두기
링과 암면 사이에 로프의 끝이 끼이는 것을 피하기 위해 절벽 쪽의 앵커 지점에 로프를 깔아야 한다.
감기
사리를 만들어 놓으면 로프를 로프백에 넣지 않고 이동시킬 수 있다. 엉킴을 방지 하기 위해 점점 짧아지게 말아 올리는 «랩 코일링Lap Coiling» 방식을 추천한다. 두 겹의 로프를 중간 또는 양끝에서 말았거나, 단 일 홑 겹의 한 쪽 끝에서 말거나, 한 손으로 로프 코일을 고르던가, 목에 걸쳐 하던가, 또는 무릎을 꿇은 상태로 허벅지에 올려 하던가 문제가 되지 않는다.
그러나 로프가 고리 모양이 되지 않게 왼쪽 오른쪽으로 돌아가며 늘어지게 사리를 만들어주는 것이 핵심이다. 꼬임이 만들어지는 것을 풀려고 하지 마라! 로프 사리를 다 만들면 중간을 잡고 1-2 팔길이로 서너번 감아 준다.
로프 하나를 사리의 중심 눈에서 뽑아 당겨서 로프의 머릿부분 위로 단단히 당겨준다. 두개 로프끝을 이런 방식을 쓰면 로프를 배낭처럼 맬 수 있다. 로프를 다시 사용할 때 등반 전 각 사리를 눞혀서 쌓아두면 로프가 새집이 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3. 로프 관리
로프 관리
모든 클라이밍 로프는 사용을 위해 디자인되고, 그리고 사용하는 동안 닳게 되어있다. 그러나 사용하는 형식에 따라 닳는 정도는 달라진다. 로프는 고전적인 등반이나 추락이 없는 등반과 같이 무게를 싣지 않으면 가장 적게 닳는다. 이 경우 바위나 빙벽과의 마찰로 외피만 마모되어 여러해가 지나면 헤지게 된다. 미숙한 루트 타기나, 엣지에서 쎄게 끌어당기거나 하는 등 무겁게 매달리는 경우 마모가 증가되어 닳게 한다. 탑로핑에서 내려주기할 때 닳는 정도는 크게 증가한다. 로프하강할 때에는 빠르거나 급하고 발작적인 하강보다 온건한 하강이 "더 건강한" 방식이다.
제어
규칙적인 간격을 두고, 또는 낙석, 아이젠 크램폰을 신고 밟은 경우,큰 폭의 낙하와 같은 예외적인 사용 후에는 로프를 자세히 살펴봐야한다. 손 안에 로프를 미터 당으로 통과시키면서 불룩해진 느낌이 드는 곳이나, 더 딱딱한 지점, 그 외 불규칙한 특징과 외피 상의 손상이 확실한 곳이 있는지 살핀다. 외관상으로 더 불규칙한 상태나 외피가 가늘게 또는 벌어져 있는 것을 발견했다면 그 로프는 교체되어야 한다. 스스로의 판단이 미심쩍다면 신뢰할 만한 취급인에게 의뢰하여 손상의 정도를 알아본다.
세탁하기-기계세탁
먼지는 로프의 성능을 감소시키고 로프 조작의 특색을 악화시킨다. 로프가 더러워졌다면 목욕통에 따뜻한 물을 받아 손으로 닦던가 일반 세탁기에서 세척할 수 있다. 주기적인 세척은 로프의 좋은 조작과 수명을 연장한다. 세척제로는 순한 합성세제가 적합하다. 세탁기에 돌릴 때는 울세탁 기능으로 하는 것이 로프를 가장 잘 보호할 수 있다. 절대 회전식으로 로프를 짜지 마시라! 말릴 때는 선선하고 어두운 장소에 눕히거나 걸어서 말린다.
보관
로프의 노화를 늦추기 위해서 로프는 서늘하고 어두운 장소에 보관해야한다. 로프를 사리의 한 쪽으로 걸어두지 말고 테이프 형의 튜블러 웨빙이나 악세서리 코드를 사용한다. 가장 중요한 것은 로프는 화공물질과 자동차 밧데리와 같은 특수한 산과 같은 것과 함께 두지 않는 것이다.
정적인 스태틱 로프는 두 가지의 이유로 수축한다: 사용에 의한 수축으로 조금 더 두꺼워진 듯 한 경우와 젖은 상태를 말려둔 후에 수축(약5%)한 경우다. 정확한 로프 길이가 중요하게 요구되는 적용을 위해서는 로프를 24시간 동안 물에 적셔두었다가 느리게 건조시킨다. 건조된 후 스태틱 로프는 현저하게 뻣뻣해 지지만 사용 중에는 원래보다 더 유연해 진다.
수명-교체시기
몇몇 고대 구식의 로프도 짧은 스포츠 클라이밍에서의 추락을 견딜 수 있는데 반해 최신 상품의 로프가 날카로운 엣지에서 끊어질 수도 있다. 그러므로 로프의 수명은 단언하기 어렵다. 형식이나 사용 기간, 쇼크 로딩과 다른 영향들이 로프를 약해지게 만든다. 결국 개별사용자에 따라 개인적인 안전성 판단에 좌우된다. 만약에 쓰고 있던 오래되고 솜털이 생긴, 다루기 힘든 로프에 대해 자신이 없으면 그 로프의 사용 난이도를 낮춰서 탑로핑 시에만 써야한다. 상업적인 사용자에는 로프 경과를 기록하길 권한다.
로프 사용빈도와 별개로 폐기해야 할 경우:
1.로프가 화학물질, 특히 산과 접촉했다.
2.외피가 손상되고 로프의 핵이 보인다.
3.외피가 심하게 닳았거나 특히 보풀이 있다.
4.외파가 눈에 띄게 벗겨졌다.
5.심한 변형이 보인다(뻣뻣함, 잔금, 해면질)
6.로프가 극단적인 무게를 받았다. (무거운 추락들, 추락 요인1이 확실하다)
7.로프가 심하게 더럽다( 윤활유, 기름, 타르)
8.열, 마멸, 또는 마찰열이 손상의 요인이다.
로프 사용가 불가에 관한 평가 참조표
사용자 빈도 추정 | 사용 수명 |
사용하지 않음 | 최대 10 년 |
거의 사용하지 않음 | 1년에 2번 7년까지 |
가끔 사용 | 1달에 한번 5년까지 |
정기적으로 사용 | 1 달에 몇번 3년까지 |
자주 사용 | 매주 1년까지 |
지속적 사용 | 거의 매일 1년 미만 |
하네스 사용가 불가에 관한 평가 참조표
Frequency of User Approximate | Life Span |
전혀 사용하지 않음 | 최대 10 년 |
드물게 사용 | 1년에 2번 7년까지 |
기회 될 때 마다 사용 | 한달에 한번 5년까지 |
주기적으로 사용 | 한달에 몇번 3년까지 |
자주 사용 | 매주 1년까지 |
지속적 사용 | 거의 매일 1년 미만 |
로프의 손상 방지하기
매번 사용할마다 소지한 로프의 수명은 단축된다. 때때로 최고의 로프조차 예비 안전도가 너무 낮을 정도의 시점에 다다르게 된다. 이런 일이 발생하기 전에, 실질적인 사용감이 떨어져서 스지 않게 될 것이다. 극단적인 무게는 로프를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쓸모없는 지경으로 만든다. 로프의 끝자락 쪽의 손상이라면 당연히 잘라버릴 수도 있는데, 여기서 반드시 기억해야 할 것은, 차후에 중심부의 표식은 더 이상 정확도를 갖지 못한다는 점이다. 로프가 어느정도의 예비 안전성을 갖추고 있는지 결정하기 위해서 다양한 위험의 요인에 대한 평가가 가능해야한다.
화공약품에 의한 손상
오늘날 몇 가지 잘 알려진 로프파손 원인은 날카로운 엣쥐에서 떨어지는 것 외에 산에 의한 화학 손상의 결과이다. 특히, 차량 밧데리에서 나오는 황산이 로프의 플라스틱 섬유를 공격함으로서 분해 될 수 있다. 이 파손은 외부로부터 감지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는 사실이 더욱이나 위험한 것이다. 겉 외피의 색소침착은 거의 인식되지 않아도 기초적인 핵 부위는 파손될 수 있다. 그러므로 로프는 화학물질 근처에 절대 함께 보관되어서는 안된다.
용제에 의한 잠재적인 위험을 가늠하는 것은 어려우므로, 절대 팰트펜(매직펜)이나 이와 유사한 같은 것으로 로프 중심 부위를 표시하면 안된다. 위험하지 않을 성 싶어도 절대 이런 사항을 무시하지 말자.
쇼크 로딩
스포츠 클라이밍에서 짧은거리에서 떨어질 때 로프에 근소한 손상만을 주고 수 백 회 정도의 짧은 추락을 견뎌낼 수 있다. 로프의 끝 부분이 뻣뻣해지거나 거칠어지면 손상된 부위를 잘라내면 된다. 역학적인 빌레이 테크닉이 구사했다고 간주할만한 10-20미터의 좀더 큰 폭으로 떨어진다고 해서 로프의 생명력이 끝난 것이 아니다. 떨어지는 요인과 충격파가 양질의 로프 기준에 있어서 중요하다. 완만하게 브레이크를 걸지 않은 추락요인 1에 해당하는 길게 떨어진 경우, 확연하게 로프의 예비 안전성은 떨어진다. 그래도 이정도의 경우에 단순한 스포츠클라이밍을 지탱할 수는 있지만, 새 로프와 비교했을 때 엣쥐나 이보다 덜 날카로운 무게 싣기를 하면 끊어질 수 있다. 이런 로프는 산악 지형이나 엣쥐가 거친 곳에서 결코 사용되는 일이 없도록 해야한다. 안전우선 주의의 클라이머라면 위와 같은 크게 떨어졌을 경우 새 로프로 교체할 것이다.
기계적인 손상
날카로운 바위 엣쥐, 낙석, 빙벽용 아이스 도끼로 쳤을 경우 로프는 치명적으로 손상을 입는다. 만약 외피가 파손되서 로프의 중심 핵이 보이거나 핵의 섬유도 끊어진 것이 보이면 그 로프는 당장에 폐기 시켜야한다. 싱글로프 여분으로 제 2의 줄을 갖지 않으므로 각별한 관리가 요구된다.
실전 팁:
깍아지른 빙벽에서 톱로프 훈련 시 때때로 로프를 아이스 도끼로 치는 일이 발생하는데 로프 절반가량의 튜브는 절단될 수 있다. 안전을 위해서 싱글로프로 등반할 때 로프의 끝을 이중으로 묶을 수 있다: 2미터 길이의 외벌 고리를 고정하고 두 번째 외벌매듭과 스크류식 개패 카라비너는 하니스에 고정한다.
로프를 밟지 마라는 옛날 법칙은 비정상적인 상황에서나 손상이 갈 정도가 된다고 하더라도 여전히 적용한다. 흙이 로프의 핵으로 파고 들어가 영향을 줄 수 있다.
마찰
바위나 카라비너에 접촉되는 마찰로 인해 로프 전체 길이에 걸쳐 겉외피가 닳게 된다. 무게가 더 무겁고 바위가 더 날카로울수록 로프는 더 많이 닳게 된다. 로프 하강시나 낯추기에서의 몸의 무게가 로프에 주는 손상은 무게를 주지 않은 선등이나 후등에 비하여 더 크다. 참고: 로프하강은 일반 클라이밍에 비해 한 두가지의 이유로 로프의 수명을 단축한다. 로우워링이나 톱 로핑은 5-10가지 요인으로 로프의 수명에 박차를 가한다. 마찰은 외피의 섬세한 섬유조직을 부러뜨려 로프가 거칠거나 솜털인것처럼 될 수 있다. 이런 로프 상태는 다루기가 더 어려워지고 로프의 물 흡수가 증가한다. 만약 로프가 너무 얇으면 여기저기 뜯어 지거나 핵부부위가 드러나거나 하는데 이 경우 로프를 반드시 교체해야한다.
실전 tip:
톱 로프의 슬링샷(고무줄 새총)에서 두 개의 카라비너를 사용하면 마모되는 것을 줄일 수 있다. 만약 확보할 앵커가 엣지 쪽에 있다면 더 긴 길이의 정적인 스태틱 로프나 웨빙으로 길게 연장해 줘서 로프가 바위의 엣지에 치이지 않도록 한다.
마찰 찰과상
마찰로 인한 극단적인 형태의 손상을 마찰 찰과상이라 한다. 하나의 로프가 다른 로프에 비벼지고 있고, 빌레이 장치가 극단적인 추락을 견디고 있거나, 또는 실수로 두 개의 로프가 하나의 앵커 지점에 보내지거나 할 때 이런 일이 벌어질 수 있다. 녹는 모습은 유리질이 투명하게 타거나 어두운 색으로 로프의 외피가 변하거나 하여 눈에 띈다. 이 부위들은 조금더 뻣뻣하고 다루기가 용이하지 않고 수행력이 떨어진다. 더 심한 마찰 손상이 보이면 로프를 반드시 교체한다.
불필요한 로프하강은 8자 매듭이 너무 뜨거워져서 로프가 어떤 지점에선가 녹게 되어있어 그 순간에 로프의 힘이 줄어들수 있다. 그러므로 로프 하강시에는 절제있는 속도감을 유지해야한다.
여러 사람이 함께 모이는 지점들에 주의를 기울인다: 만약 두 개의 팀이 한 앵커를 써야만 한다면 한 개의 카라비너에 함께 묶는 일을 반드시 피해야만 하고 이로서 두 개의 로프가 마찰이 생기는 일이 없어야한다. 주요 앵커 지점에서 각 팀은 각자의 빌레이를 만들어야한다. 로프가 서로 질러 가는 일이 없도록 한다.
오염
로프에 낀 먼지 등 오물은 대개 다루기의 미숙함에서 온다. 이 미숙함이 로프를 더 뻣뻣하고 끈적거리게 만든다. 만약 로프가 기름, 윤활유, 타르 같은 것으로 인해 너무 더럽혀졌다거나 씻는 것으로 깨끗하게 할 수 없다면 외관상의 이유만으로도 교체를 고려할 만하다. 특히나 위험한 것은 화강암 부스러기 먼지나 모래에 의한 오염으로 수정결정판이 로프의 핵으로 부식시켜 들어갈 수 있어 로프의 힘을 감소시켜 로프하강이나 등반자 내림 시에 특히 위험하다. 불규칙한 외피의 두께와 부드러운 지점들은 이런 종류의 손상에 대한 징후로 볼 수 있다.
젖은 로프
로프가 젖으면 더 무겁고 다루기가 더 어려워서 기량이 떨어진다. 얼은 로프는 표준 하강을 건조된 로프에 비해 그 반절만 견딜 수 있을 뿐 아니라 꽁꽁 언 딱딱한 «케이블» 은 하강 장치에 큰 무리를 주는 힘으로 작용한다. 꽁꽁 어는 듯한 습기가 더욱 위험한 상황은 태양볕에 의해 부드러워진 빙하, 갑작스런 기후 변화, 폭포빙벽에서 축축하게 젖은 지역에서 있다.
자외선
태양으로 부터의 UV 복사열은 변색과 노화를 가속화시킨다. 하지만 이 복사열에 대한 클라이밍 로프의 강도에 있어서는 섬유소재의 신축감이 감소되고 로프가 뻣뻣해 지기는 하지만 사소한 문제가 되곤한다. 오히려 더 수상한 것은 종종 루트에서 발견되는, 평소 표준 무게를 감당하기는 하는 하옇게 바랜 로프하강 슬링 로프다. 그럼에 마찰의 결과나 마찰열의 흔적이 있는지 주의를 요한다.
엉킴
뒤엉킴은 꼬아져서 생긴다. 심하게 엉킨 로프는 사용하기 어렵고 로프 하강시에 로프 줄기들이 서로 뒤엉킬 수 있어서 위험하다. 어떤 로프는 다른 것 보다 더 엉킴이 있는 경향이 있고 이런 현상은 로프의 노화에 따라 증가되기도 한다. 하지만 엉킴은 주로 미숙하게 다루는데서 오곤 한다. 만약 로프가 원형사리기의 둥근 깍지 모양으로 말여 있으면 엉킴이 생기게 된다. 로프는 특정 가장자리 각도에서 내려주기를 할 때나 겹치는 위치로 카라비너에 의해서도 꼬일 수 있다. 조심해서 다루면 이런 종류의 곤혹에 도움이 된다.
실전 tip:
말끔하고 비틀리지 않는 로프 다루기에 주의를 기울이고 말아둘 때는 길이가 점점 짧아지게 하는 «Lap-Coiling» 방식을 사용한다. 뮌터 히치는 두개의 로프를 완벽하게 평행이 되게 잡아준다! 로프 엉킴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로프를 일자로 내려뜨려주는 것이 최고다. 반복적인 겹치기 스태킹, 완만하고 무딘 엣지에서 로프를 당겨주는 것이 엉킴을 제거하는데 도움이 된다.
4. 기준/테스트
표준 테스트 사항
국제적으로 승인된 기준은 오직 안전한 장비만이 판매되도록 허용하도록 보장한다. 당연히 각각의 마무트 로프는 이 기준을 충족할 뿐 아니라 EU로프 규범 EN 892을 , 또한 더 엄격한 UIAA 기준을 넘어선다. 무엇이 이런 다양한 기준과 상징이 의미하는 바는 무엇인가?
EN유로 규범은 특히 기준이 있어야 하는 제품을 위해 고안되었다. 그러므로, 상징은 규범의 숫자가 따라온다.(다이나믹 로프 – EN 892; 스태틱 로프 EN 1891). EU 규범을 제시하는 제품은 안전 조건을 충족시키고 지정된 센터에서 시행되는 제품 샘플 테스트를 통과해야한다.
CE-적합 상징
상징은 생산자가 부여된 의무를 인지함을 보여주는 것으로, 품질을 나타내는 상징이 아니고 유럽연방 내에서의 통행권에 가깝다. 즉, 제품 안전에 대한 EN 기준을 준수함을 뜻한다. CE 상징에 따라오는 숫자는 (예, CE 1023) 제품 번호나 기준/관리를 암시한다.
UIAA
이 상징마크가 있는 제품은 UIAA 요구 기준을 충족한다. UIAA는, 국제 연합 알파이 협회International Union of Alpine Associations 약자로, 수십년 동안 실전 중심의 기준을 개발을 선두해 왔다. 그러므로 대개의 경우, UIAA-기준은 Euro 기준에 비해 더욱 엄격하다. 모든 마무트 로프는 UIAA 필요 조건을 충족한다.
ISO
ISO (국제 표준화 기구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는 세계적인 규범 기구들을 결합한다. ISO Norm 9001은 품질 관리에 대한 전반적 과정을 규정한다. 이들은 지속적인 제품 품질과 서비스를 유지시킨다. 보증은 B.S.I. 과 같은 외부 기관에 의해 지휘된다.
5. 다이나믹 로프 기준
지름
로프의 지름은 10 kg 짐을 지웠을 때 잰다. 이 테스트에서 몇몇의 로프들은 명백하게 생산자의 데이터자료에서 빗나간다.
실전에서 지름은 큰 의미는 없다. 특정 제어 장치의 죔쇠 효과 또는 가는 로프로 연결된 빌레이 장치 들은 이중의 안전을 위해 조절해줘야만한다. 가는 로프의 잇점은 대개 무게와 마찰의 감소다.
미터 당 무게
보통의 싱글로프는 미터 당 60에서 85g이고 하프는 50g, 그리고 트윈은 45g이다. 코팅 마감처리 된 COATINGfinish™, 마무트 Challenge Line의 로프는 특히 더 가볍다. 15회~17회의 표준 추락 실험 하에 싱글로프 Serenity는 52g, 하프 로프 Phoenix는 41g 그리고 트윈로프Twilight는 38g이다. 미터 당 2그램이 적을 뿐이지만 50m 가 되면 100 g이 되고 이것은 초코바 하나 또는 한 줌의 사탕을 확보할 수 있다!
추락 견딤
로프 테스트는 가장 관심을 받는다. 실험에서 로프가 얼마나 많은 추락을 견딜 수 있는지 측정한다. 추락 요소 1.75에서의 표준 추락은 극단적으로 심한 것으로 실전에서는 거의 일어나지 않는다. 싱글과 트윈로프로 80 kg 또는 하프로프로 55 kg가 단일 가닥의 싱글이나 하프로프 내지 두 가닥인 트윈로프에 가해져 떨어진다. 싱글과 하프로프는 최하 5회의 표준 추락을 견뎌야 하며, 이중의 트윈 로프는 최소 12회 추락을 견뎌야 한다. 5-9호의 표준 추락을 견디는 싱글로프는 표준 추락로프로 고안되어 있고 9 회의 추락을 견디는 로프는 다회 추락 로프로 고안된다.
몇 회의 추락을 견디는가는 로프의 안전성 확보에 직접적인 측정이 된다. 어떤 새로운 로프라도, 좋은 조건과 관리가 잘된 로프라도 충격이 전해진 무게에 의해서 끊어질 수 있다. 하지만 로프의 효율도 감소해간다: 노화와 헤짐이 강도를 감소시킨다. 습기와 특히 서리는 로프의 강도를 1-2회의 표준 추락 만큼을 감소시킨다.
충격파
충격파는 회 당 표준 추락에서 짐에 영향을 주는 최대의 힘으로서, 로프가 떨어지는 중력으로 늘어나면서 흡수하게 된다. 추락에 따른 강도의 측정이다. 높은 충격파를 가진 로프는 추락시에 몸과 안전장치에 더 심한 동요를 불러일으킨다. 표준 실험에서 싱글과 트윈로프의 충격파는 1200 daN를, 하프 로프는 800 daN (약. 800 kp)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
실전에서 충격파의 연관성은 비교적 적은 편으로, 이 측정은 추락하는 로프가 완벽하게 고정되어진 표준의 정적인 스태틱 추락에서 이뤄지기 때문이다. 그러나 실전에서는 추락이 거의 항상 동적인 상황에서 일어난다. 빌레이 장치는 (Munter, figure eight, ATC 등) 로프가 지나는 특정한 길이 있고 중앙 포인트나 하니스에 고정하게 되어있고 동적인 효과를 불러온다. 동적인 다이나믹 자일 고정하기를 하면 대부분의 추락 중 에너지가 흩어지게 되어 충격파가 감소된다. 마무트의 전형적인 스포츠 클라이밍 하강 측정은 그러므로, 다이나믹 빌레잉 시에 하프나 트윈이나 그 충격파의 차이는 근소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결론적으로 진실한 다이나믹 빌레이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사실이다.
이완 상태
늘어남은 정지 상태의 짐을 감당하는 로프의 신축성을 뜻한다. 미리 5 kg의 짐을 지워 놓은 로프 하나에 80 kg 무게를 올려준다: 이때, 싱글로프는 10%, 트윈 로프는 12%의 늘어남을 초과 하지 않는다.
정지 상태의 늘어남은 대개 탑로핑 시, 또는 장벽에서 짐을 끌어올릴 때의 편안함을 평가한다. 이 경우들에서 로프가 늘려져서 힘을 뺐거나 또는 탑 로프를 어렵게 해서 올라갔는데 쉬는 동안 거리감을 상실했다면 난처해지게 된다. 늘어남은 추락 시 안전성과 더 연관이 있는데, 이는 추락하고 있는 몸이, 예를 들면, 연결줄인 러너에 충격부하를 줄것인가이다. 거칠게 말하면, 정적인 스태틱과 동적인 다이나믹 두가지에서 늘어남에 관련성이 있다.
첫 추락에서의 이완
이 매개 변수는 로프가 첫회 표준 추락을 할 때의 늘어남을 측정한 것이다. 이 테스트에서의 최대 늘어남 허용폭은 40%이다. 동적인 낙하 연장은 정적인 스태틱 가치로서의 연장보다 로프의 내부적인 가치를 지시한다. 보호 기능에 가해지는 추락 충격으로 인해, 늘어남이 길어질수록 위험은 증가된다. 모든 마무트의 로프는 아직은 의무조항이 아니지만 EN 기준을 충족시킨다. 측정가는 28-32% 로 허용된 최대 40%에서 충분히 하위이다.
외피 벗겨짐
이 테스트에 2 미터 길이의 로프가 테스트 장치에서 5회 동안 내려진다– 드럼 모양 철재로서 지그재그 모양으로 로프 가이드를 상쇄한다. 외피와 핵은 액션이 돌면서 만들어지는 드럼에 의해 엄격하게 실험된다. 외피는 최대 20mm에서 벗겨진다.
만약 외피와 핵이 사용중에 빠져나오면 로프는 볼록해지고 덩어리가 질 수 있다. 만약 끝 부위가 부주의하게 접착되어 있으면 외피나 핵의 중심점으로부터 미끄러져 나올 수 있다. 현대의 클라이밍 로프의 외피의 밀려남은 거의 일어나지 않는다.
매듭
옭매듭은 10 daN의 힘으로 조여지고 1 daN에서 풀린다. 이후 매듭의 지름 내부는 로프 지름의 최대 1.1배 까지 크게 할 수 있다.
매듭 짓기는 로프 고정에 관한 참조 포인트가 된다: 뻣뻣한 로프 매듭은 다른 좀더 부드러운 로프에 비해 꽉 지어지지 않고 빌레이 장치를 통과해 가는 과정이 더 어렵게 될 수 있다. 하지만 로프의 부드러움은 관리와 기후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에 그 측정에 너무 많이 가치를 두지 않아야 한다.
6. 스태틱 로프 기준
EN 1891 기준 정적 스태틱 로프
유럽피언 기준은 스태틱 로프(늘어남이 적은 케른망틀 로프)의 요구사항을 규정한다.
EN 1891 범주 내에서 우리는 다음과 같은 로프 타입을 구분한다:
Type A:
높은 곳에서 작업 중의 안전장치 로프로서 관련된 장비와 결합하여 사용하거나 구조용 로프로 사용되도록 의도되었다. 지름10 – 16 mm / 다이나믹테스트 무게100 kg.
Type B:
Type A에 비해 더 작은 지름과 낮은 강도. 다이나믹 테스트 무게 80 kg. 일반적으로, EN 341.에 따른 로프 하강장비와 결합하여 사용하도록 특별히 개발됨.
스태틱 파열 강도
Rope:
Typ A: ≥ 22 kN
Typ B: ≥ 18 kN
End loop (figure of eight knot):
Typ A: ≥ 15 kN
Typ B: ≥ 12 kN
150 kg에 대한 로프 늘어남 정도
Tpy A: ≤ 5%
Typ B: ≤ 5%
충격파 - 높이 0,6m; 추락 요소 0,3
Typ A: ≥ 5 / 100 kg
Typ B: ≥ 5 / 80 kg
추락 견딤 - 추락 높이 2m; 추락 요소1
Typ A: ≥ 5 / 100kg
Typ B: ≥ 5 / 80kg
매듭 짓기
Typ A: 1,2 D
Typ B: 1,2 D
외피 밀림
Typ A: ≤ 30mm
Typ B: ≤ 15mm